리더십워크숍 1주차 강의 감상문
1. 강의에 소개된 리더십 유형 각각의 장점 및 단점, 각각 리더십 유형에 속하는 인물
강의에서 소개된 리더십은 ‘혁신적 리더십’, ‘카리스마적 리더십’, ‘파파 리더십’의 3가지입니다. 각 리더십 유형의 장단점 및 이에 속하는 인물의 예를 들어보고자 합니다.
첫 번째 유형은 ‘혁신적 리더십’입니다. 고(故)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이 유형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. 이 유형은 패러다임의 변화를 잘 캐치하여 변화의 물결에 빠르게 적응합니다. 또한 인재의 중요성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. 이에 육성과 발탁 및 적절한 보상을 통해, 회사에 꼭 필요한 인재들을 양성해 냅니다. 다만 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릴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말이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 따라서 조직 구성원 간 소통의 단절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.
두 번째 유형은 ‘카리스마적 리더십’입니다. 고(故) 정주영 현대그룹 회장이 이 유형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. 이 유형은 뭐든지 행동으로 몸소 실천하여 조직의 귀감이 됩니다. 특히 긍정적인 성격과 자신감을 바탕으로, 모두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일도 당당히 성공해 냅니다. ‘으쌰으쌰 잘 해보자’ 정신을 바탕으로 조직의 사기를 끌어올리기에 무조건 좋을 것 같지만, 그 과정 속에서 사람들을 혹독한 경쟁의 현장에 내몹니다. 따라서 부하 직원들이 금세 지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.
마지막 유형은 ‘파파 리더십’입니다.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의 박항서 감독이 이 유형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. 이 유형은 ‘원 팀 정신’을 바탕으로 모든 선수들을 가족처럼 대합니다. 소외될 위험이 있는 이들도 놓치지 않고, 모두를 빠짐없이 챙깁니다. 따라서 조직력이 강화되고, 1+1로 2가 아닌 3을 만들어낸다는 강력한 장점이 있습니다. 다만 지나치게 애정을 쏟아붓다 보니, 그 애정을 받는 사람 입장에서는 부담을 느끼거나 사생활이 통제된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. 정도가 과할 경우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.
2. 이 중 현대 한국에 가장 적합한 리더십을 선택하고,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.
저는 고(故) 이건희 삼성 회장이 보였던 ‘혁신적 리더십’이 현대 한국 사회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됩니다. 그렇게 생각한 이유로는 총 두 가지가 있습니다.
첫째,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, 변화의 흐름을 캐치하고 이에 재빨리 따라가는 것은 필수적이기 때문입니다. 묵묵히 노력하거나 ‘으쌰으쌰 잘 해보자’고 격려하는 것만으로는 21세기 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없습니다. 조직의 방향을 잘 정해줄 리더가 반드시 필요합니다.
둘째, 혁신적 리더십의 ‘단점’이라고 생각됐던 부분이 ‘장점’이 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. 현 MZ 세대는 직장 동료들과 업무 이상의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꺼려합니다. 그렇기 때문에 ‘중요한 의사결정을 내릴 때 외에는 말이 없다’는 단점이 오히려 장점이자 매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